본문 바로가기
정부 정책 관련/복지·지원금 혜택

맞벌이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 달라지는 육아지원 3법 정리!

by 폴리몬 2025. 2. 18.
반응형

맞벌이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
맞벌이부부 육아휴직 최대 3년!

 

2025년 2월 23일부터 맞벌이부부의 육아휴직이 최대 3년까지 가능해집니다! 또한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난임치료휴가 급여 지원 등 다양한 육아 지원 정책이 강화됩니다.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육아휴직·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연장

    육아휴직 최대 1년 6개월 사용 가능

    • 기존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
    • 연장된 기간에도 육아휴직 급여 최대 160만 원 지급
    • 단,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 또는 한부모 가정·중증 장애아동 부모만 연장 가능
    • 사업주에게 관련 증빙서류 제출 필요

    육아휴직 최대 1년 6개월 사용 가능
    육아휴직 최대 1년 6개월 사용 가능


    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확대

    • 기존 10일에서 20일로 연장
    •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급여지원 기간 5일 → 20일로 확대
    • 출산 후 90일 이내 사용 가능120일 이내로 변경
    • 최대 4번까지 나눠 사용 가능

    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확대
    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확대

     

    유산·사산휴가 기간 연장

    • 기존 5일 → 10일로 확대
    • 임신 15주 이내 유산·사산 시 최대 10일 휴가 사용 가능
    • 임신 주수에 따라 최대 90일까지 가능

    유산·사산휴가 기간 연장
    유산·사산휴가 기간 연장


    육아휴직 신청 방법 안내

    • 고용보험 홈페이지 (https://www.ei.go.kr/)
      👉 육아휴직 급여 신청, 배우자 출산휴가 지원금 신청 가능
    • 근로복지공단 (https://www.kcomwel.or.kr/)
      👉 육아휴직 관련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 확인 가능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확대

    • 자녀 연령 기준 8세 → 12세로 확대
    •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최대 3년까지 근로시간 단축 가능
    • 기존 최소 사용 단위 3개월 → 1개월로 단축 (방학·단기 돌봄 수요 대응 가능)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확대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 기존 12주 이내, 36주 이후 → 12주 이내, 32주 이후로 확대
    • 고위험 임산부(조기 진통·다태아 임신 등)는 임신 전 기간 단축 가능

    난임휴가·유급기간 확대

    난임치료휴가 6일로 확대

    • 기존 3일에서 6일로 연장
    • 유급기간 2일로 확대
    • 중소기업 근로자는 첫 2일 정부 지원 급여 제공 (사업주 부담 완화)

    난임휴가·유급기간 확대
    난임휴가·유급기간 확대


    예술인·노무제공자도 출산전후급여 및 유산·사산급여 지원

    • 고용보험 가입자가 미숙아 출산 시 근로자와 동일하게 100일간 출산전후급여 지급
    • 유산·사산휴가 기간 근로자와 동일하게 10일로 확대
    예술인·노무제공자도 출산전후급여 지원
    예술인·노무제공자도 출산전후급여 지원

    마무리

    이번 육아지원 3 법 개정으로 맞벌이부부의 육아휴직이 대폭 확대되고, 배우자 출산휴가와 난임치료휴가 등 다양한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고, 보다 안정적인 육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정책이 개선된 만큼, 꼭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

     

    📌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홈페이지(https://www.korea.kr)에서 확인하세요!

    반응형

    home top
    }